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교육사회학 기능론/기능주의, 갈등론/갈등주의, 개념 및 비교

by edutech_master 2024. 5. 11.
반응형

지난 포스팅(링크)에서 여러 가지 교육학 하위 학문을 소개했었는데요, 오늘은 그 중 교육 사회학과 관련된 주제로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교육 사회학은 "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사회적 불평등에 대해 탐구"하는 학문이라고 간략하게 소개했던 것이 기억납니다. 교육 사회학에서 가장 주요한 이론을 하나 꼽으라면 바로 "기능론과 갈등론"이 아닐까 싶어요. 교육 사회학 과목을 수강하시면 바로 이 내용부터 배우시게 된답니다ㅎㅎ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바로 이 기능론과 갈등론에 대해 자세히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사실 기능론과 갈등론은 "이 사회 전반을 어떠한 시각에서 바라볼 것인가"에 관한 것으로, 교육 분야에 적용한다면 "교육이 사회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가"에 대한 패러다임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교육의 긍정적인 기능을 강조하는 기능론과 부정적인 기능을 강조하는 갈등론, 이번 포스팅을 읽어보시면서 여러분은 어떠한 시각에 더 공감하시는지 한 번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교육사회학 기능론기능주의, 갈등론갈등주의, 개념 및 비교
교육사회학 기능론기능주의, 갈등론갈등주의, 개념 및 비교

 

기능론/기능주의(Functionalism)

기능론은 교육이 사회에서 어떤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에 주목하는 이론입니다. 기능론은 교육이 사회적 통합과 안정을 유지하며, 개인의 사회화와 인격 발달을 촉진한다고 주장합니다. 기능론적 관점에서 인간은 사회와 문화의 영향을 받아 사회화되고 문화화된 타율적 존재입니다. 사회는 생물학적 유기체로서, 각 부분이 다른 기능을 담당하고 상호의존하여 전체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유기체로 이해합니다. 이에 따라 사회의 각 요소도 서로 협력하여 사회 전체의 존속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여겨집니다. 이렇듯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고, 각 부분 간 우열이 아닌 기능적 차이만 존재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기능론적 관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론적 관점을 교육에 적용하면 교육의 주요한 기능으로 사회공동체의 유지와 발전, 그리고 개인의 사회화를 강조하게 됩니다. 기능주의 교육이론가인 에밀 뒤르켐은 "교육은 사회생활을 위한 준비를 아직 갖추지 못한 어린 세대에 대한 성인 세대의 영향력 행사이다. 그 목적은 전체로서의 정치사회와 아동의 장차 소속하게 되어 있는 특수 환경의 양편이 요구하는 지적, 도독적, 신체적 제 틍성을 아동에게 육성, 계발하는 데 있다"고 말하며. 교육이 사회적 융합을 촉진하고, 문화적 유창성을 향상시킨다고 주장했습니다.

기능론적 관점에서 발전한 교육이론으로는 인간자본론(교육을 통한 인간에의 투자가 개인의 생산성 향상과 소득 증대를 가져오고 국가의 경제성장에 기여한다), 근대화론(사회가 발전하기 위해 필요한 근대적 의식을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한다) 등이 있습니다.

 

갈등론/갈등주의(Conflict theories)

갈등론은 사회 내부의 갈등과 교육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 이론입니다. 갈등론은 교육이 사회적 불평등을 유지하고 강화한다는 입장을 취합니다. 우선 갈등론적 관점에서 인간은 한정된 재화를 두고 경쟁하고 갈등하는 존재입니다. 따라서 사회는 이러한 개인 및 집단 간의 끊임없는 경쟁과 갈등이 이어지는 곳이 됩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개념은 사회계급인데요, 갈등은 사회계급간 권력 혹은 생산관계의 차이에서 비롯되며 사회질서는 지배집단의 강제에 바탕을 두고 유지된다고 봅니다.

이러한 갈등이론은 주로 칼 마르크스와 막스 베버의 사상에 토대를 두고 발전해왔습니다. 구체적으로 갈등주의 교육이론가인 보울스와 진티스는 학교가 불평등한 경제구조를 재생산하며, 억압적 자본주의 사회 유지에 필요한 가치관과 성격적 특성을 학생들에게 주입하는 곳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능력주의 교육관은 허구이며 교육기회를 불평등하게 배분한다고 보는 것이 두 이론가의 경제적 재생산론입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부르디외는 문화적 재생산론을 주장하면서 지배계급이 선호하는 문화를 학교교육에 투입시켜 불평등한 사회적 관계를 정당화하고, 문화를 매개로 지배관계를 재생산하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이처럼 갈등론적 관점에서 교육은 불평등한 사회구조를 재생산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객관적이고 중립적이지 않고 지배집단과 관련을 맺고 있다고 봅니다.

 

기능론과 갈등론의 비교

기능론과 갈등론은 각각 교육의 기능과 사회적 갈등을 중심으로 한 이론으로, 서로 다른 관점에서 교육과 사회의 관계를 해석합니다. 기능론은 교육이 사회적 안정과 발전에 기여한다는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는 반면, 갈등론은 교육이 사회적 불평등을 유지하고 강화한다는 부정적인 입장을 취합니다. 각각의 뚜렷한 관점에 따르다보면 기능론은 통합과 합의를 강조함으로써 규격화되고 획일화된 교육을 야기한다는 한계점에, 반대로 갈등론은 교육행위에 있어 인간의 의지를 무시하고 교육의 사회통합적인 기능을 경시한다는 한계점에 부딪히게 됩니다. 따라서 교육의 사회적 기능을 바라보는 두 가지 상반된 시각을 이해하고, 이를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할 때 교육제도와 사회의 변화를 더 잘 이해하고, 보다 효과적인 교육정책을 제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