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RM전문가시험

HRM전문가시험 요약정리, 직무조사표, 직무분류표, 직무조사표 설계, 직무조사표 작성원칙, 직무평가, 직무급, 직무급 설계

by edutech_master 2024. 10. 22.
반응형

HRM전문가시험 요약정리, 직무조사표, 직무분류표, 직무조사표 설계, 직무조사표 작성원칙, 직무평가, 직무급, 직무급 설계
HRM전문가시험 요약정리, 직무조사표, 직무분류표, 직무조사표 설계, 직무조사표 작성원칙, 직무평가, 직무급, 직무급 설계

 

직무분류표 작성

  • 직무분석의 목적에 따라 직무분석 대상을 확정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인사관리 전반에 활용하기 위해 팀 내 역할(Manager-Senior-Junior)과 기능 측면에서 직무를 구분해야함
  • ex. 인사팀의 직무분류표 → 인사총괄 Manager, 급여관리 Senior, 급여관리 Junior, 인사관리 Senior, 인사관리 Junior   5개 직무를 대상으로 직무정보를 수집/조사

 

직무조사표 설계

  • 직무조사의 목적에 따라 설계하되 기본적으로 조직 간의 업무분장이나 역할과 책임(R&R)의 명확화가 목표임 → 과업, 업무수행절차 등을 조사
  • 업무량을 산정하기 위한 목적 → 업무 빈도, 업무수행 시간 등을 조사
  • 직무별 승인이나 결재자를 구분하기 위한 목적 → 직무난이도, 수행절차별 결재권자 등을 조사
  • 직무성과지표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 → 과업단위별 성과지표 도출

 

직무조사표 작성원칙

  • 각 단위조직별로 확정된 직무분류표에 분류된 단위직무(ex. 급여관리 Junior)를 기준으로 작성
  • 직무조사 대상자는 직무분류표상 각 셀 단위에 명시된 단위 직무별 담당자
  • 직무를 직접 수행하고 책임을 맡은 직무담당자가 직접 기술(담당자가 복수인 경우 협의하여 기술)
  • 직무를 담당한 기간이 짧은 경우 전임자/차상위자의 조언을 참고하여 기술
  • 기록내용은 모두 사실이어야 함. 사실여부 파악을 위해 조직 및 업무분장 내용 등 기술할 내용에 대한 근거를 확인 후 작성
  • 정확하고 간단하지만 충분히 세부적으로 기술하되 추측(~할 수 있도 있음), 희망사항(~하고 싶음)은 기재하지 않음
  • 실제 수행하는 업무만 간결하고 명료하게,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빠짐없이 기술 (↔ 포괄적, 추상적인 용어나 약어, 문학적 표현은 사용하지 않음)
  • 지금은 수행하지 않지만 가까운 미래에 수행할 업무나 반드시 수행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여력이 부족하여 수행하고 있지 않은 업무도 기술
  • 객관성 제고를 위해 작성 완료 후 SME(Subject Matter Expert)가 1차 검토 및 팀장이 2차로 보완하여 완료

 

직무평가 정의 및 활용

  • 직무분석 과정을 통해 작성된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를 기반으로 직무의 상대적 가치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기초로 하여 임금을 결정함
  • 직무평가를 통해 각 직무의 상대적 중요성,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기술/태도(KSAs), 직무의 난이도 등 특성에 따라 조사되어 값어치가 매겨짐 → 직무 자체의 가치 판단 (O), 직무상의 인간 평가 (X)

 

직무평가 방법

  1. 비계량적 평가방법

  • 서열법 (ranking method) : 평가자가 포괄적인 지식을 사용해 직무 전체를 서로 비교하여 순위를 매기는 방법
    • 가장 간단하고 신속한 방법
    • 일정한 평가 기준이 없고 직무를 단순 비교하여 유사 직무 간 혼란을 야기할 수 있음
  • 분류법 (classification method) : 사전에 분류해 둔 여러 등급에 각 직무를 적당히 판정하여 삽입하는 방법
    • 대체로 간단하고 이해하기 쉬우면서, 서열법에 비해 발전된 방법
    • 직무를 구성요소로 분해하지 않고 포괄적으로 접근하여 분류의 정확성이 보장될 수 없으며, 분류 기준이 애매하고 직무 수가 많은 경우 사용할 수 없음

  2. 계량적 평가방법

  • 점수법 (point method) : 직무의 평가요소를 선정하고 각 평가요소별로 그 중요성에 따라 일정한 점수를 배분한 후 각 직무의 가치를 점수로 환산하여 그 상대적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
    • 직무를 중요한 요소로 나누어 평가함으로써 평가척도의 신뢰성을 높이고 합리적으로 직무의 상대적 차이를 낼 수 있음
    • 평가요소 산정 및 각 요소 간 비중과 점수 배분을 하는 데에 상당한 전문성, 시간, 비용이 필요함
  • 요소비교법 (factor comparison method) : 조직 내 기준직무와 기준직무의 평가요소를 선정한 후 조직 내 각 직무의 평가요소를 기준직무의 평가요소와 비교하는 방법
    • 평가요소는 보통 7가지를 넘지않음 ex. 숙련, 정신적 노력, 신체적 노력, 책임, 작업조건
    • 직무 간 상대적 가치 평가가 용이하고 측정 기준이 설정되어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음
    • 기준 직무가 잘못 특정되거나 기준직무의 내용이 변하는 경우 평가 전반이 문제가 됨
    • 측정 척도 구성이 복잡해 이해에 어려움이 있고 비교적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듦

   ⇒ 직무평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점수법, 점수법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Hay System

  • 3개 차원(Know-How, Problem Solving, Accountability/Responsibility)으로 구성
  • 각 차원은 여러 요소로 구성되어있음
    • Know-How (3) : Specialized Know-How, Managerical Know-How, Human Relations Skill
    • Problem Solving (2) : Thinking Environment, Thinking Challenge
    • Accountability/Responsibility (3) : Freedom to Act, Magnitude, Impact

 

직무급 정의 및 설계

  • 직무급 : 직무의 가치에 따라 급여를 결정하는 임금체계 → 주로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양기업들에서 채택
  • 설계 : 직무평가 결과(직무의 상대적 가치)에 따라 직무등급을 구분하고, 각 등급 내에 2~3개의 Pay Band를 구분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