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RM전문가시험

HRM전문가시험 요약정리, 기본연봉 설계, 기본연봉체계, 보상 조정, 성과급 설계, 목표 지급률, 회사 초과 이익 배분, PS, Profit Sharing, 장기인센티브, LTI, 선택적 복리후생

by edutech_master 2024. 11. 3.
반응형

HRM전문가시험 요약정리, 기본연봉 설계, 기본연봉체계, 보상 조정, 성과급 설계, 목표 지급률, 회사 초과 이익 배분, PS, Profit Sharing, 장기인센티브, LTI, 선택적 복리후생
HRM전문가시험 요약정리, 기본연봉 설계, 기본연봉체계, 보상 조정, 성과급 설계, 목표 지급률, 회사 초과 이익 배분, PS, Profit Sharing, 장기인센티브, LTI, 선택적 복리후생

 

기본연봉체계 설정 프로세스

  1. 시장 임금에 기초한 직급 중간값 설정

  • 시장 임금 조사 결과를 토대로 각 직급의 중위값(Midpoint)을 결정함

  2. 급여 기울기 결정

  • 직급 간 일정한 기울기(Midpoint Deferential)를 설정함
  • 하후상박 급여구조 : 하위 직급 급여가 높은 편이고 상위 직급으로 올라갈 수록 급여 상승 기울기가 낮아짐 → 유능한 신입직원을 확보하기 위해 채택
  • 상후하박 급여구조 : 하위 직급 급여가 낮은 편이고 상위 직급으로 올라갈 수록 급여 상승 기울기가 높아짐
  • 대체로 최소 15% ~ 최대 30% 수준에서 회사 정책에 따라 적정 수준으로 조정함

  3. 직급별 Range 설정

  • 직급별 급여의 상하 펼쳐진 범위(Range Spread)는 그 크기가 클수록 동일 직급 내 연봉 수준의 차이가 많이 날 수 있음

  4. 직급별 겹치는 구간 설정

  • 고성과자에 대한 차별적 보상 가능성으로서, 이 구간이 클 수록 상위 직급의 저성과자보다 하위 직급의 고성과자가 더 많은 급여를 받을 가능성이 커짐

 

보상 조정 프로세스

  1. 대상자 파악

  • 급여 수준이 떨어지는(=기본 연봉이 직급 기본 연봉 Range 하한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직원 숫자와 금액을 확인
  • 보상의 시장경쟁력 확보를 위해 보상을 조정함

  2. 소요재원 파악

  • 연봉 상승 시 예상되는 추가 인건비 소요 예산 파악

  3. 예외자 조정 (Outlier Adjustment)

  • Range 하한 아래에 존재하는 직원에 대해 하한 수준까지 인상하는 것

  4. 일괄 인상 (Average Increment)

  • 모든 대상들의 기본 연봉을 일괄적으로 인상하는 것
  • 전체적으로 급여의 경쟁력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으나 많은 재원이 소요되므로 재원조달능력을 면밀히 검토하여 실시하고, 2~3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인상해야 함

 

기본 연봉 인상 프로세스

  1. 기본 연봉 인상률 결정

  • 경영실적, 해당 연도 물가상승률, 연간 허용 인건비 재원 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

  2. 인상 재원 마련

  • 예산 설정과 함께 연봉 인상을 위한 인상 재원 마련을 구체적으로 검토

  3. 차등 인상률 결정

  • 성과평가, 역량평가, 종합고과, 상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직급별 연봉 Range 내에서 차등 인상률을 결정함
  • 동일 직급 연봉 Range 안에서는 동일 평가 결과라면 상위 수준보다 하위 수준의 연봉자에게 메리트를 제공하여 연봉 격차가 너무 크게 벌어지지 않도록 관리함

  4. 개인별 연봉 결정

  • 개인별 평가 결과에 따라 차등 인상률을 감안하여 최종 연봉 금액을 확정함

 

성과급 설계 프로세스

  1. 성과급 형태 결정

  • 개인성과급, 팀 성과급, 목표 성과급, 직급별 차등 성과급 등의 다양한 형태 중 기업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형태를 선택

  2. 성과급 비율

  • 기본 연봉의 일정 비율을 지급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
  • 사전에 직급별 목표 수준(Target Incentive)을 정해놓고 성과달성 정도에 따라 지급하는 방식을 활용하기도 함

  3. 지급 빈도

  • 연말에 1회 지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경우에 따라 반기, 분기, 월 단위로 지급할 수 있음

  4. 차등 정도

  • 일반적으로 저 직급보다는 고 직급이, 관리직보다는 영업직이 성과급 크기를 크게 설정함

⇒ 기본 연봉과 달리 성과급은 변동급(Variable Pay)로서 경영 상황에 따라 유연성을 가지며, 개인의 관점에서는 노력한 결과에 대한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보상이라는 관점에서 강한 동기부여 역할을 함

 

성과급 결정프로세스

  1. 성과급 목표 지급률 결정

  • 회사의 경영성과와 개인의 지급률 간 일정한 공식을 적용해 기본적인 성과급 목표 지급률을 결정함

→ Thereshole : Incentive의 지급이 시작되는 임계점 (성과달성률이 이에 못 미치면 성과급을 지급하지 않음)

→ Cap : 성과가 증가되어도 Incentive가 증가되지 않는 지점 (과도한 성과달성률은 잘못된 목표 설정 또는 환경적 요인 등에 기인하므로 성과달성률에 따라 무한정 Incentive를 제공하지 않음)

→ Sharing Rate : 성과달성 대비 인센티브 곡선의 기울기 (성과달성 정도에 따라 인센티브가 상승하는 증가분의 크기)

→ Incentive Zone : 실질적으로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는 구간 (Thereshold ~ Cap)

 

  2. 성과급 배분 총액 결정

  • 회사의 경영성과에 따라 지급 가능한 성과급 총액을 결정함

  3. 성과급 실질 지급률 결정

  • 성과급 총액과 개인, 조직별 목표 달성에 따른 지급률을 시뮬레이션 하여 실질 지급률을 산정함
  • 일반적으로 지급가능 총액을 사전에 설정하고 그에 따라 차등 배분 금액을 맞춤

  4. 개인별 배분

  • 차등 배분 금액이 맞추어지면 개인별로 확정된 금액을 배분함

 

회사 초과이익 배분 (PS : Profit Sharing)

  • 목적 : 회사의 경영성과에 따라 재무적 초과이익이 발생한 것에 대해 직원 공유를 통하여 사기 진작 및 일체감 조성
  • 기준 : 영업이익 또는 EVA (Economic Value Added : 경제적 부가가치) 등을 사용하여 목표수준 이상의 실적이 달성되었을 때 일정 금액을 배분
  • 방식 : 연봉에 따른 비례지급, 직급별 균등지급, 조직별 차등지급 등
  • 장점 : 회사와 직원간 강한 파트너십 형성, 경영성과와 인센티브를 연계함으로써 회사의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고 이익배분 부여 시 직원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음
  • 한계 : 지급 여부를 사전에 예측하기 어렵고 개인의 노력 여하와 연계성이 약함

 

장기인센티브 (LTI : Long-term Incentive)

  • 목적 : 핵심인재 또는 회사에 큰 공헌을 한 임직원을 계속 유지하는 것 (↔ 단기인센티브는 당해 연도의 성과에 대해 당해 연도 또는 차년도에 보상)
  • 종류
    • 우리사주제도 (ESOP : Employee Stock Ownership Plan)
      • 개념 : 회사가 자사 주식을 임직원에게 시가보다 싼 가격으로 우선 구입할 수 있게 하는 제도
      • 대상 : 전 임직원
      • 장점 : 주인의식을 확보하고 전 직원에게 공평하게 기회 부여
      • 단점 : 현금지출 부담이 있고 주가 하락 시 개인의 손실이 따름
    • 제한부 주식 (RS : Restricted Stock)
      • 개념 : 성과급을 현금 대신 주식으로 주는 것
      • 조건 : 일정기간 근속, 성과달성 등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주식을 주고, 기간 이전에 퇴사를 하거나 약정한 성과에 미달하는 경우 주식을 반납해야 함
    • 주가차익보상권 (SAR : Stock Appreciation Right)
      • 개념 : 주식 가격이 상승하였을 경우 가치 상승분에 대해 보상받을 권리 (SAR 부여 시점과 행사 시점의 주가 차익을 보상) → 주가가 하락하면 보상이 없고, 상승할 경우에만 보상을 받음
      • 특징 : SAR을 받은 직원은 열심히 노력하여 회사의 성과를 상승시키면 본인의 보상이 늘어나므로 장기적으로 동기부여가 됨
    • 주식매수선택권 (Stock Option)
      • 개념 : 일정한 기간 내에 미리 정한 금액(행사가액)으로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권리
      • 절차 : 해당 연도 스톡옵션 부여 규모 결정 후 개인별 배분계수 산정(직급별 배분계수*개인별 기여도) → 개인별 부여규모 산정(해당연도 스톡옵션 부여 규모*개인별 배분계수 비율)
      • 고려사항 : 부여 대상(전 임직원or소수), 가치산정방식(연봉, 직급, 목표수익 등), 부여규모, 부여 빈도, 행사 조건, 세금 등

 

선택적 복리후생 (Flexible benefit, Cafeteria benefits plan)

  • 목적 : 비용 효용성을 높이는 동시에 다양한 직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함
  • 장점
    • 개인의 특성과 구성이 다양하게 변화함에 따라 발생하는 복리후생에 대한 욕구를 시의 적절하게 반영함
    • 자신의 복리후생제도 설계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복리후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복리후생설계 능력을 배양시킴으로써 임직원들의 자율과 책임역량을 강화함
    • 추가적 비용 없이 새로운 제도의 도입 가능 선택의 폭이 넓어짐
    • 직원의 필요는 충족하면서 총 복지비용의 수준을 제한함으로써 노동비의 안정적인 통제가 가능함
    • 노동조합 또는 근로자대표를 선택적 복리후생제도의 계획에서부터 실행 및 사후평가과정에 참여하게 하여 노사 간 협력을 증진함
  • 단점
    • 전문가가 아닌 개인에게 복리후생제도에 대한 판단을 맡기므로 정작 필요한 복지를 선택하지 않을 경우 임직원 관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설계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들어가며 관리운영상 비용과 인사부서 업무 부담이 증가함
    • 실제로 활용하는 복리후생제도가 전통적인 체제 하에서보다 늘거나 비용이 증가할 수 있음
  • 유형
    • 추가 선택형 (Core Benefit Plan, Core-plus Benefit Plan) : 기업이 최소한의 필요 복지항목 및 수준을 기본으로 제공하고, 부여된 일정 점수 한도 내에서 임직원이 선택하여 필요한 항목을 추가함
    • 소비 계정형 (FSA : Flexible Spending Account) : 임직원이 필요로하는 복지 항목을 계정으로 설정하고 개인에게 부여된 점수(Credit)를 각 계정별로 나누어 할당할 수 있게 함
    • 패키지형 (Package Plan, Modular Plan, Alternative Dinner Plan) : 다양한 복지 항목을 각각 그 수준에 차이를 두고 골고루 섞어서 여러 패키지를 제시하고 그 중에서 선택하게 하는 유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