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RM전문가시험

HRM전문가시험 요약정리, 역량평가 개념, 역량평가 구조, 역량체계 구축 프로세스, 역량 도출 방안, 역량평가, 역량평가 방법론, 역량지표, 팀장의 역량

by edutech_master 2024. 10. 31.
반응형

HRM전문가시험 요약정리, 역량평가 개념, 역량평가 구조, 역량체계 구축 프로세스, 역량 도출 방안, 역량평가, 역량평가 방법론, 역량지표, 팀장의 역량
HRM전문가시험 요약정리, 역량평가 개념, 역량평가 구조, 역량체계 구축 프로세스, 역량 도출 방안, 역량평가, 역량평가 방법론, 역량지표, 팀장의 역량

 

역량 (Competency)

  • 개념 : 고성과자의 행동양식, 우수성과 창출에 기여하는 행동양식의 요소를 구조화한 체계 
  • 기본 전제
    • 고성과자의 행동 양태를 관찰함 → 고성과자는 저성과자와 확연히 구별되는 행동 양태가 있음
    • 고성과자가 성공적으로 직무를 수행하는 데에는 특별한 지식, 능력, 태도, 자질 등의 다른 특징이 있음
    • 역량은 개인에게 내재되어 지속적인 가치를 지님
    • 개인의 높은 역량은 조직의 성공과 연계될 수 있음 → 조직은 구성원의 역량 증진을 위해 노력해야 함
  • 특징 - 빙산이론
    • 개발(Develop)되어질 수 있는 것 → 기술(Skills), 지식(Knowledge) 등
      • 쉽게 관찰 및 측정할 수 있으면 비교적 쉽게 교육을 통해 증진시킬 수 있음
      • 전체 역량의 10% 정도를 차지함
    • 선택(Select)되어지는 것 → 태도, 가치관, 성향, 동기 등
      • 일정 연령(20~30세) 이전에 대부분 형성되는 것으로, 쉽게 고쳐지거나 바뀌지 않음
      • 전체 역량의 90% 정도를 차지하기 때문에 채용 시점에 회사의 기본적인 방향, 가치관 등에 비추어 채용 여부를 신중히 검토해야 함
  • 구조
    • 핵심(공통)역량 : 조직의 비전과 연계되어 전 직원들에게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역량 → 가치관, 태도 등
    • 직무역량 : 담당 직무에 따라 요구되는 역량 → 직무 기술, 지식 등
    • 리더십역량 : 특정 직급 이상의 관리자에게 요구되는 역량

⇒ 전체 역량 요소는 5~10개 이내가 적당함 (역량 요소가 너무 많아지면 평가자에게 혼란을 초래하고 요소 간 중복을 피하기 어려움)

 

역량체계 구축 프로세스

  1. 기초 역량 조사

  • 요구 역량 조사 : 임직원 인터뷰, 경영방침, 인재상, 사훈, 신년사 내용 검토 등을 통해 전 직원에게 요구되는 기본 역량 요소 도출
  • 우수 기업 역량 조사 : 동 업종/이 업종 대표 우수 기업의 역량항목을 조사하여 기초 역량항목 선정

  2. 핵심(공통)역량 선정

  • 기초 역량 조사 단계에서 선정한 기본 역량 항목을 토대로, 임원 및 팀장을 대상으로 핵심(공통)역량을 조사

  3. 직무역량 인터뷰 실시

  • 직무별로 직무 수행자와 개별 또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요구되는 직무 지식, 기술, 노하우 등에 대한 역량 요소 도출

  4. 역량 프로파일 도출

  • 선정된 핵심역량 및 직무역량에 대해 역량 개요 및 수준을 정의하기 위한 프로파일 작성

 

팀장의 역량

  • 대표자로서 팀장의 역할 : 이해관계자 조정, 회사의 대외적인 대표 역할, 회사 관점의 상담 및 응대
  • 전달자로서 팀장의 역할 : 주요 방침 보고 및 지시사항 전달, 회의 주재 및 참석, 조직원들의 의견 분위기 전달
  • 관리자로서 팀장의 역할 : 업무방향 설정 및 성과관리, 업무분장 및 조정, 올바른 직원 평가
  • 육성자로서 팀장의 역할 : 직원의 애로사항 해결, 부하직원 육성, 조직관리

⇒ 역할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토대로 각 역할에 따른 올바른 역량 도출 필요

 

역량평가 방법론

  • 평정척도법 (Graphic Rating Scales)
    • 개념 : 역량에 대해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으로 평가
    • 장점 : 구조가 단순하고 개발 및 사용이 용이함
    • 단점 : 평가요소에 대한 상세한 정의와 설명이 부족하고, 평가자의 주관성이 개입될 가능성이 높음
    • 예시 : "창의성"이 매우 우수하다 - 보통이다 - 매우 부족하다
  • 행동기준 척도법 (BARS,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s)
    • 개념 : 개별 역량의 수준별 행동 특성을 3~5단계로 정의하여 상세히 평가
    • 장점 : 각 역량의 세부 수준에 대해 명확히 정의되어 있어 보다 세밀한 평가가 가능하고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을 배제할 수 있음. 향후 육성 및 코칭의 목표 수준을 제시할 수 있음
    • 단점 : 역량 수준을 정의하는 것이 어렵고 오랜 시간이 소요됨. 행동관찰 척도법에 비하면 역량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움
    • 예시 : 창의성이 "매우 우수하다"(자신이 속한 각 분야에 있어 전사적으로 변화를 주도하고 오랜 관행을 타파하며,,) - "매우 부족하다"(변화에 수동적 입장을 취하고 기존 방식 중심으로 업무를 처리하며,,,)
  • 행동관찰 척도법 (BOS, Behavior Observation Scales)
    • 개념 : 역량 특성을 다양한 행동으로 지표화하고, 행동지표들에 대하여 평정 척도법으로 평가
    • 장점 : 역량의 다차원적 접근으로 평가 타당성, 구체성을 확보하며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하여 사용이 간편함
    • 단점 : 역량 평가에 대하여는 평정척도법의 한계를 그대로 가지고 있음(주관적 평가 가능성)
    • 예시 : 창의성의 행동지표인 "새로운 제안 및 아이디어"가 자주 관찰된다 - 보통이다 - 거의 없다
반응형

댓글